상해와 남경을 점령한 뒤 침략전쟁을 화북지방으로 확대하고 있던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병역의 의무를 지우는 예비적 조치인 육군지원병 제도를 실시하는 한편 ‘국체명징’이라는 미명 아래 조선인들을 ‘황국신민화’하는 정책을 강행했다.
1938년 4월 3일자 동아일보는 <양 제도 실시 축하>라는 사설을 통해 육군 지원병 제도와 조선 교육령을 조선민주에게 내려진 ‘축복’이라고 미화했다.

4월 3일 신무천황제일을 복하여 조선 통치상 획시기적 제도인 육군특별지원병 제도와 조선교육령의 시행 축하가 행케 되었다. 이 의의 깊은 날을 당국은 거국일로 정하고 그에 적합한 모든 행사를 실행하게 되었다. 즉 이날이 신무 천황 제일임을 기하여 어성소에 의한 팔굉일우의 대정신의 해설 보급을 도모하기에 적당한 기념행사를 행하는 동시에 이날이 개정교육령 및 지원병제도 실시일임을 당하여 조선신궁에서 그 봉고제를 거행하기로 하고 전 조선적으로 기행력, 혹은 축연도 있어 이날 하루를 성대히 기념할 절차이다. 그럼으로써 민중으로 하여금 거국일치의 정신을 체득시키는 동시에 양 제도의 진수를 정해시키려는 것이다. (생략)
일제가 조선인들도 육군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실시한 목적은 일본인들만으로는 중국 침략전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선의 젊은이들을 그 전쟁의 ‘총알받이’로 내보내려고 만든 것이 바로 지원병제도였다. 그런데 동아일보의 사설은 “지나사변을 계기로 조선민중의 총후 활동은 열성을 다한 바 있어(중략)당국의 조선민중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함으로써 육군에 지원할 수 있는 ‘특혜’를 받게 되었다고 허황한 논조를 펼치고 있다.
게다가 동아일보는 ‘교육개정령’이 강조하는 ‘국체명징’‘팔굉일우’‘내선일체’는 조선인들이 ‘대일본제국의 신민’임을 명확히 깨닫고 ‘온 천하가 한 집’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서 일제가 ‘대동아공영권’을 이루는 데 적극 참여하며, ‘내지인 일본과 조선이 하나’라는 인식을 분명히 가지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제의 침략전쟁 구호들을 ‘조선 교육사상 획시기적인 것’이라고 미화하고 있는 것이다.
동아일보는 사설뿐 아니라 4월 4일자 2면 머리기사<양 제도 실시 축하 성대>에 지원병 제도와 교육개정령 실시를 대서특필했다.

전승의 영광에 빛나는 양춘, 찬연히 빛나는 반도통치사의 1 페이지, 제국의 숭고한 사명 수행에 바친 2천3백만 민중, 애국의 지성이 결실하여 이에 조선인 지원병제도와 신 조선교육령이 형영상반하여 실시되어 반도통치에 1 신기원을 획한 환희의 날이다. 남 총독의 참다운 황국신민으로서의 본질 철저를 통치 방침으로 하여 국체명징, 내선일체, 인고단련의 교육의 성과가 지금에야 내선인 한 가지로 동일 법규 밑에 교육을 받는식을 열고 반도인이 국방의 중임을 나누게 되는 날을 맞이하여 (중략) 역사적 이 대제도를 축복하는 이날 경성부에서는 특히 이날을 국민정신작흥이로 정하고 각종 행사와 같이 일반 시민, 회사, 은행, 상점도 일제히 국기를 게양하여 감격과 긴장으로서 의의 깊은 1일을 보냈다.(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