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4·3사건’을 축소, 왜곡보도하는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뒤늦은 4월 6일자 2면에 ‘4·3사건’을 토막기사<제주도 경찰관서 피습 / 시내 수개처에서 발생>로 보도했다.

조선일보< 제주도 경찰관서 피습 경찰관 4명 청년 8명 사망>(1948.4.6)
조병옥 경무부장 담에 의하면 4월 3일 제주도 일대에 경찰서 피습사건이 돌발하였다고 한다. 경무부에 보고된 현재까지의 피해 상황은 경찰서 피습 11개소, 4명의 경찰관이 사망하고 8명의 청년이 희생당하였다고 한다.

이 기사만 보면 ‘4·3사건’의 원인은 무엇이고 무장봉기의 주체는 누구인가를 전혀 알 수가 없다. 조선일보는 제주 현장을 직접 취재하지 않은 채 미군정청의 발표를 1~2단 기사로 짤막하게 보도했다.


4월 7일자 2면에는 경무부장 조병옥의 ‘발표’를 인용한 기사<제주도의 치안을 교란 / 응원경찰대 현지 급파>가 2면에 2단으로 실렸다.

조선일보<제주도의 치안을 교란 응원 경찰대 현지급파. 趙부장 발표>(1948.4.7 )
6일 조 경무부장 발표에 의하면 4월 3일 이래 제주도에는 일대 불상사가 야기되어 폭동으로 인한 관공서의 습격파괴, 살육 방화 약탈 등으로 치안이 극도로 교란되었으며 경찰은 동시에 모조리 피습되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기에 임하였으므로 즉시 경무부로부터 김동호 공안국장과 수원을 특파하는 동시에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조병옥의 발표를 빌어 처음으로 ‘폭동’, 공산게릴라‘라는 말을 썼다.


조선일보는 제주 4·3사건이 일어난 지 2개월 2일만인 6월 5일자 1면에 처음으로 그 사건에 관한 사설<제주사태 수집에 관하여>을 내보냈다.

조선일보<제주사태 수집에 관하여>(1948.6.5 )
제주도민 혼인이 대부분 도민 간에 많다는 특수사정으로 보아 도민 중에는 폭도측 청년 중에 어느 누간 대부분이 친척이 아니면 소위 ‘사돈의 8촌’쯤이라도 척분을 가진 사람이 폭도 측에 들어 있지 않은 것이 없었을 것을 생각할 수 있고 또 고도의 특수한 전통생활에서 가져온 자도민 우선 혹인 비호의 소극적 배타심도 도와서 도민들이 흔히 폭도 측 청년에 대하여 동정적 경향에 있었을 것을 십분 짐작 할 수 있었겠는가.

이 사설은 ‘4·3사건’이 크게 확대된 원인을 제주도민들의 특수한 ‘척분 관계’에서 찾고 있다. 그리고 진압군인 육해경비대가 ‘동족상잔의 애사를 남기지 않기 위하여 은인자중’하면서 ‘사살주의가 아니라 생금주의’를 원칙으로 삼았다는 것을 ‘태도의 온당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주도의 특수한 척분 관계가 4·3사건이 갈수록 홛대되는 데 한 원인으로 작용했겠지만, 실제로는 미군정이 파견한 군대와 경찰, 그리고 서북청년단의 무참한 양민 학살과 제주도 초토화 작전이 사상이나 이념에 관계 없이 도민들의 저항에 불을 댕겼던 것이다.

조회수 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