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장기 파업'에 대한 축소와 편파 등 왜곡보도의 극치
2월 5일자 제2사회면(14면)에 2단 짜리 짤막한 기사(현대 테러 관련 14명 구속기소 울산발 연합)가 그 사건에 대한 수사가 마무리됐음을 알렸을 뿐이다. 백주에 회사가 동원한 구사대가 식칼과 쇠파이프 등 흉기를 동원해 수십 명의 노조원들을 폭행한 엄청난 사건에 대한 수사가 그렇게 용두사미 식으로 끝난 것에 대한 배경 설명도, 조선일보의 입장 표명도 없었다.

현대중공업 회사 측은 2월11일부터 정상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조선일보는 10일자 제2사회면(14면)에 그 소식을 전하면서 “노조 측과 공식적인 합의가 없는 상태에서 내려졌고 파업을 계속 주장하고 있는 강성 근로자들의 반발이 예상돼 1백%정상 가동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전망했다. 너무나 당연한 예상이었다. 회사 측이 노린 것은 정상 가동이 아닌 노·노 갈등 유발이었다. 이후 조선일보 지면에 보도된 것은 줄곧 노·노 갈등에 관한 내용들이뿐이었다.

예를 들어 3월 15일자 사회면 주요 기사<이사 등 60명 감금·폭행 / 현대중 조업 방해 각목 휘둘러 24명 부상 / 두곳 끌고 가 파업 약속 받은 뒤 풀어 줘 / 5명엔 막걸리 붓고 1시간 동안 구타>, 25일자 사회면 머리기사<파업 주도 55명 전격 해고 현대중 사태 새 국면“근로자 작업 복귀 폭력 방해” 파업 측도 오늘 중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이 바로 그랬다.
식칼 테러까지 일어난 현대중공업 장기 파업 사태에 대한 보수언론의 보도는 축소와 편파 등 왜곡보도의 극치를 이루었다. 사태가 가라앉은 후 밝혀진 대로 현대중공업 회사 측은 물론 안기부와 문공부까지 나서서 언론사 간부들과 집단 접촉을 벌였고 현지 취재를 나간 각 신문사 기자들이 회사 측과 경남 도지사로부터까지 거액의 촌지와 향응, 접대를 받았다는 사실이 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