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폭력시위'만을 부각하는 조선일보

강경대가 타살당한 이튿날인 4월 27일자 조선일보는 23면머리에서 그 기사를 현장 위주로 다루었다. 4월 28일자부터는 모든 시문이 일제히 ‘치사 정국’, 그리고 며칠 후부터는 ‘분신 정국’으로 휩쓸려 들어갔다. 조선일보는 강경대에 대한 폭행치사와 그 뒤 잇달아 일어난 분신 사태에 대해 안타까움과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결정적인 비판의 칼날은 공권력이 아닌 폭력시위로 향했다. 기껏해야 경찰과 학생들에 대한 양비양시론이었다.


조선일보<무화염병 무쇠파이프>(1991.4.30 )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시위문화도 건전한 방향으로 정착돼야 할 텐데 실제로는 그렇지가 못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시위의 명분이 폭넓은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게 되자, 참가자가 줄어드는 것과 반비례해 더욱 시위 양상이 극력해지는 추세를 보였다(중략)시위 현장에서 투석행위와 화염병이 난무하는 상황에서는 경찰이 아무리 개선을 한다고 해도 시위대와 진압 공권력이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고 본다.

조선일보는 4월 30일자 사설<무 화염병 무 쇠파이프>을 통해, 사태의 원인은 공격적 시위 진압이라는 경찰의 과잉 대응임을 인정하고 진압방법의 다양한 개선책을 제시하면서 “그러나 우리가 강군의 억울한 죽음을 헛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시선을 돌릴 필요도 있다고 본다. 다름 아닌, 시위문화의 문제이다”라고 주장했다.



조회수 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