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쿠데타를 지지한 동아일보

5월 16일 오전 동아일보는 ‘호외’를 통해 <오늘 미명 군부서 반공혁명>이라는 제목으로 쿠데타를 혁명으로 미화한 반면, 조선일보는 <오늘 새벽 군부 쿠데타>라고 표현했다.

동아일보<오늘 미영 군부서 반공혁명>(1961.5.16)
그날 오전 9시 ‘군사혁명위원회’는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뒤 ‘포고 제1호’를 통해 언론 활동을 규제했다. 계엄령 제3항은 ‘언론·출판·보도 등의 사전검열’을 강제했다.

동아일보는 5월 17일자 석간 1면에 5·16쿠데타를 지지하는 사설<당면 중대 국면을 수습하는 길>을 실었다.

동아일보<당면 중대 국면을 수습하는 길>(1961.5.17)
그런데 이번 쿠데타와 함께 느끼는 것은 무엇보다 ‘피를 보지 않은’ 그것이 불행 중 다행한 일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만약에 4월 혁명 그때처럼 인명의 희생자를 냈더라면 어찌 됐을까에 생각이 미칠 때, 우리는 지나간 날을 회상하면서 다시 한 번 율연한 마음을 금할 수 없었을 것이었지만, 그것이 천행으로 없었다는 것을 우선 국민과 함께 다행스럽게 여겨야 할 일이다.

5·16 쿠데타는 장면 정부를 무력으로 뒤엎었다. 국가의 근본을 뒤흔드는 ‘군사반란’이 일어났을 때 언론사가 선택한 길은 두 가지 뿐이다. 경영진부터 사원들까지 일치단결해서 쿠데타 자체를 부정하면서 ‘헌정 수호’를 위해 비상계엄에 따른 검열을 거부하면서 제작을 포기하거나, 쿠데타를 순순히 인정하고 군사정권에 굴복하는 길이 있었을 것이다. 앞의 방법은 여간한 용기로는 택할 수 없었을 터이므로 동아일보를 비롯한 모든 신문이 두 번째 길로 간 것은 이해는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 입증되었듯이 박정희와 김종필이 주동한 쿠데타를 주요 언론매체들이 서둘러 합법화하고 지지함으로써 18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한국사회는 독재와 전체주의적 압제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쿠데타 직전에 쓴 것이 확실한 5월 16일자 동아일보 1면 무기명칼럼<횡설수설>은 4월 혁명 이후의 통일운동을 ‘용공 좌경’으로 몰아붙임으로써 쿠데타의 명분을 미리 ‘인정’한 느낌을 주었다.

동아일보<횡설수설>(1961.5.16)
무능부패한 정부, 정당 아닌 도당, 혁명을 팔고 다니는 학생 아닌 정상배, 심지어 김일성 앞잡이들까지 멋대로 놀아나서 바야흐로 세상은 난장판이 되었다. 이 틈에서 좌경기회주의 분자, 회색분자, 부역자들이 때를 만난 듯이 실없는 통일방안이라는 것을 쳐들고 돌아다니면서 사회는 더욱 어수선만 해갔다. [적기가]를 부르는 무리가 나와도 겨우 15일의 구류, 공산괴로들과 판문점에서 만나 같이 부둥켜안고 울겠다고 괴상한 연극을 꾸미는 분자들도 법이 없다는 핑계로 수수방관하는 세상이다.
조회수 16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