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최장집 사상 논쟁을 불러 일으킨 월간조선과 조선일보

최종 수정일: 2020년 2월 18일

최장집 교수는 기사가 나온 1998년 10월 당시 고려대 교수이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이었다. 그가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는 위치 때문에 월간조선과 조선일보는 '최장집 죽이기'에 혈안이 되었다.


언론의 최장집 사상검증은 월간조선 11월호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 최장집 교수의 충격적 6.25 전쟁관 연구>부터 시작이었다. 조선일보는 <최장집위원장 반론에 대한 월간조선의 반박요지>를 실어 논쟁을 확장시켰다.


최장집 교수는 월간조선 11월호 보도에 대해 "왜곡, 음해"라며, 장문의 반박문을 게시했고, 조선일보는 최장집 교수의 반박에 월간조선의 재반박을 길게 실면서 '최장집 죽이기' 여론에 일조했다.



조선일보, <김일성의 남침전쟁이 어찌 민족해방전쟁인가>(1998.10.24)



한겨레는 1998년 10월 23일자 <최장집 교수 논문 시비 파문>이라는 기사를 통해 문제의 기사를 쓴 월간조선의 우종창 기자를 취재했다. 한겨레는 이를 바탕으로 우종창 기자의 의도성을 문제 삼았다.


"우 기자의 '검증의 객관성'에서는 적잖은 의도성이 발견된다. 월간조선은 기사 제목으로 고른 <6.25는 김일성의 역사절 결단>이라는 부분이 최 교수를 좌파로 '판정'할 수 있는 핵심 근거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체 맥락에서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
최 교수는 <한국전쟁의 발발>(박명림 지음, 나남 펴냄) 2쇄 발문에 이렇게 적고 있다 "우리 민족에 집단적 수난을 가져오고 이후 한국사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은 (...) 북한체제와 김일성이 소련 및 중국의 동의 아래 역사적 결정을 내리고 이를 감행한 전쟁 그 자체였다는 사실이다."
조회수 44회댓글 0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