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총독부의 지방자치 홍보에 앞장선 동아일보

1939년 5월 들어 부읍의원과 면협의원 선거를 실시하게 되자 총독부는 언론을 조선인들에게도 지방자치를 허용하는 듯이 선전하기 시작했다. 주권도 없는 식민지에서 조선사람들이 지방자치를 주체적으로 해나간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런데도 동아일보는 총독부의 지방자치 홍보에 앞장섰다. 5월 11일자 사설<지방자치의 재의>에 그런 행태가 잘 드러나 있다.

동아일보<지방자치의 재의>(1939.5.11)
내 21일에 실시되는 전 조선의 부읍의원과 면협의원의 선거에 대하여는 모처럼 맞이하는 우리 생활의 한 훈련으로서 참으로 민의가 반영된 엄숙한 선거가 실시되기를 부탁한 바 있었거니와(중략)현행 조선의 지방자치제가 일반 민중에 그다지 절실한 문제로 취급되지 않는다는 것의 한 증좌라, 그렇기 때문에 선거자나 피선거자에 큰 열의 없고 또 국외자도 큰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이니(중략) 일반은 좀 더 정치적인 인식과 훈련을 얻는 기회가 되도록 고나심을 가지는 것이 무방할 것이다.

지방선거 하루 전인 5월 20일에도 동아일보 사설<한표의 시련>은 조선인들이 투표에 적극 참여하라고 촉구했다.

동아일보<사설 한 표의 시련>(1939.5.20)
설사 지방자치의 그것이 아주 정상치 못한 것이라고 하자. 그럴수록 우리는 그것에 관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상적 제도가 아니라고 해서 회피만 한다면 그것은 현명한 방법은 못된다. 아무리 부당부정한 것 일수록 한 번 구명해서 그 결함을 지적하고 한 걸음 나아가서는 이상적 자치제를 가져오도록 투쟁해야 할 것이 아닌가(중략)공정한 한 표를 던져서 그 제도의 운행을 감시하고 그런 후에 주민으로서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마땅한 것이다.

일제 침략전쟁의 병참기지로 전락한 조선의 민중은 날마다 가렴주구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동아일보는 한가하게도 그들을 향해 ‘이상적 자치제를 가져오도록 투쟁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