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적 절차가 착착 진행되는 가운데 1981년 1월 22일 전두환과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의 회담이 서울과 워싱턴에서 동시에 발표됐다. 1980년 12월부터 한미 간에 전두환의 미국 방문을 두고 줄다리기가 계속됐다. 그 과정에서 김대중에 대한 감형 등을 조건으로 전두환의 방미가 결국 성사된 것이다.
동아일보는 그것을 국가적 경사인 듯이 대서특필했다. 1월 22일자 1면 머리에 통단기사를 실었다. 3면과 5면에도 관련 기사를 실었다. <레이건과 한미 정상회담>이라는 사설은 레이건이 취임한 후 첫 번째로 전두환을 초청했음을 강조하면서 그의 입지를 강화해주는 등 ‘레이건을 통한 전두환 띄우기’에 열심이었다.

레이건 대통령의 전 대통령 초청은 레이건 취임 이후 첫 번째로 취해진 외국원수 초청이라는 점에서 그가 한미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동시에 그동안 만만치 않게 얽혀온 현안의 조속한 해결을 서두르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양국 관계 개선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
한미 정상회담이 발표된 후 전두환 정권은 1월 23일,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된 김대중의 형량을 무기징역으로 감형하고 이어 비상계엄을 해제하는 등 바쁜 일정을 보냈다. ‘내란음모’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던 김대중은 죽음을 면하게 됐고 비상계엄은 선포 4백56일 만인 1월 24일 24시를 기해 해제됐다. 동아일보는 1월 24일자 통단사설<‘김대중 사건’단락 / 화합 위한 ‘정치’의 더욱 폭넓은 전개를>을 통해 그 조치가 ‘전두환 대통령의 정치적 배려’임을 재삼 강조했다.

정부는 김대중 사건 피고들에 대한 감형에 붙어 “70년대의 구 정치는 작년에 야기된 극도의 사회 혼한과 사북·광주 사태 등의 폭동 등으로 일대 국가적 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사실상 ‘파경’으로 종말을 고했으며 김대중 사건은 이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상징적 사건”이라고 하고 “김대중은 70년대 구 정치에서 ‘반체제’였으며 새 시대 정치와는 본질적으로 관계없는 자이며 그 일당의 범죄는 구 정치의 연장선상에서 자행되었다는 점이 새 시대의 개막에 앞서 국가원수에 의해 특별히 관용된 배경”이라고 설명했는데, 그와 꼭 같은 배려로 김대중 사건뿐 아닌 다른 구시대적인 사건들도 하루 빨리 단락을 짓도록 부탁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