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군부의 '정치 불개입' 연막 전술에 앞장서는 동아일보

국무총리 신현확은 12월 15일 12·12사태는 진정, 해결됐으며 정치발전 스케줄에 어떤 차질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로부터 3일 후인 12월 18일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은 이희성은 담화문을 통해 “군의 기본 사명은 국토 방위에 있으며 정치는 군의 영역 밖의 분야이기 때문에 군이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확고한 원칙이며 애국심과 양식 있는 정치인에 의해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이 한결같은 군의 소망임을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시군부의 이와 같은 연막 전술은 그 이후에도 계속됐다.


동아일보는 그들의 주장을 1면 주요 기사로 보도하는가 하면 12월 19일자에서는 <이 계엄사령관 담화를 보고>라는 사설을 통해 그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군의 정치 개입을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지만 결국 신군부의 연막전술을 받아들인 셈이었다.

동아일보<이 계엄사령관 담화를 보고>(1979.12.19)
이런 때에 이 계엄사령관이 정치는 군의 영역 밖의 일이라고 못 박은 것은 우선 정치 발전을 염원하는 우리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것으로 높이 평가할 일이다. 후진국들 같이 군이 정치를 좌우해서는 안 됨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특히 6·25 남침의 쓰라린 역사를 경험한 우리나라는 국토 방위에 허점이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것이 온 국민의 염원이고 따라서 군은 국토 방위에 전념해달라는 것이 국가적 소명이기도 하다.

신군부는 이미 12·12 군사반란을 통해 군권을 장악한 뒤 정권의 막후 실세로 등장했다. 외신들은 이전부터 신군부의 권력 장악을 전했지만 김대중·김영삼·김종필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은 군사반란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눈치였다. 정치권은 그것을 군 내부의 강온파 간 충돌로 보고 주정적 판단을 유보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미국은 12·12 군사반란 이후의 권력상 황을 최규하를 수반으로 하는 ‘형식적 정부’와 신군부의 ‘실질적 권력’이 작동하는 ‘이중 권력구조’를 지칭했다.

조회수 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