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회악 일소' '삼청교육대' 홍보하는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군부의 각종 정책을 홍보하는 나팔수 역할을 충실히 했다. 신군부의 새로운 정책이 나오면 기사와 사설 혹은 특집시리즈 등을 통해 충성스런 지원을 다했다. 컬러TV, 과외금지 정책, 대학 졸업정원제 등을 정성스럽게 다뤘다.


신군부는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사회 전체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국보위를 국보위 상임위로 바꾸고 8월 4일 '사회악 일소를 위한 특별조치'를 단행했다. 조선일보는 1980년 8월 5일 1면에 <전국 불량배 일제 소탕> 기사로 국보위 상임위원장이었던 전두환의 사진과 함께 계엄령 포고 13호를 발표를 보도했다.

조선일보 <전국 불량배 일제 소탕>(1980.8.5.)

이와 더불어 사회면 기사 <뒷골목이 밝아졌다>를 통해 마구잡이로 잡아들인 사람들에 관한 통계 자료를 자세히 소개했다. 그야말로 무법천지의 인권유린이었다. 국보위 상임위는 권력악, 공직악, 사회악, 경제악을 4대악으로 통칭하며 공무원 숙정에 이어 '사회악 일소'에 칼을 들이댔다. 같은 날짜 2면 사설 <사회악 수술에 대한 기대>는 이런 '특별조치'를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조선일보 <사회악 수술에 대한 기대>(1980.8.5.)
...국보위의 이번 조치에 대한 기대는 바로 지속적이로 심층적인 강력한 추진력에 대한 기대이며, 이 만성 고질의 병폐가 뿌리 뽑혀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그 의지에 대한 기대인 것이다. (중략) 이 점에 착안한 국보위는 죄질에 따라 군재회부, 근로봉사, 순화교육을 베풀어 악질범은 강력 처단하고 선질범은 새사람으로 만듦으로써 끄나풀을 녹여버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

'삼청교육'은 바로 이 때 발표된 계엄포고 13호를 근거로 했다. '사회악 일소를 위한 특별조치'를 주관했던 국보위 사회정의분과위원회가 삼청동에 위치해 '삼청계획5호'라는 이름을 붙인 데서 비롯됐다. 국보위 상임위가 이 특별조치를 발표하기 3일 전부터 합동단속반이 이른바 '불량배들'을 소탕했다. 연행된 6만여 명 중 3만 9천여 명이 삼청교육대로 넘겨졌다.


삼청교육은 악랄한 인권유린의 현장이었다. 억울하게 끌려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정치적 보복이나 노동운동 탄압을 목적으로 악용되기도 했다. 언론은 이런 야만적 인권유린의 공범이었다. 조선일보 역시 한 육군부대를 방문, 취재한 기사를 8월 13일 사회면 머리에 올렸다.

조선일보 <땀을 배우는 인간교육장>(1980.8.13.)
...이들의 정식명칭은 '삼청교육대의 수련생'들. 장교의 안내를 받아 연병장 한가운데로 나가자 멸공봉을 들고 '정신순화'라는 구호를 외치며 좌우로 들었다 놓았다 하는 수련생의 얼굴 하나하나가 뚜렷이 보였다. 대부분이 20세 전의 앳된 얼굴들. 그 얼굴에서 과거의 악은 어느 틈엔가 찾아볼 수 없었다.

각 신문과 방송사들은 국보위 의도에 따라 삼청교육을 홍보하는 르포를 게재했다. 위 기사도 그 중 하나다.


삼청교육의 후유증은 매우 심각했다. 육체적 고통은 말할 것도 없었고 교육 중 가혹행위로 사망하거나 장애가 생긴 사람들도 많았다. 2002년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에 따르면 삼청교육과 그 후유증으로 사망한 사람은 339명, 부상자는 약 2700명이다.


조회수 1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