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춘금 협박 사건으로 시작된 동아 기자들의 개혁운동

동아일보가 연속사설<민족적 경륜> 때문에 호된 시련을 겪고 있던 1924년 4월 초, 그 신문의 앞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사건이 터졌다. 친일단체인 ‘각파유지연맹’ 간부인 박춘금이 동아일보사 사주 김성수와 사장 송진우를 요리집 ‘식도원’으로 유인해서 권총으로 협박하며 3천 원이라는 거액을 요구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다.


이 사건은 어디까지나 친일단체의 언론테러 행위이며, 이 사건을 일으킨 박춘금은 동경에서 한인노동자들을 모아 노동상애회를 조직하여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했다. 후에 그는 대의사 노릇을 하며 대의당을 조직한 기한 1급 부일 민족반역자였으나 동아일보는 이상하게도 계속 침묵을 지키고 있었다. 동아일보는 4월11일자에 <민중의 반역자에게>제하의 사설로써 사건전말을 보도하였을 뿐 ‘서약서’든 ‘사담’이든 여기에 대해서는 일체 말이 없었고, 박춘금에 대한 고발이나 고소도 전혀 없었다.

동아일보<민중의 반역자에게>(1924.4.11)
박춘금 담: (중략) 노농국에서 나온 돈을 공연한 곳에 허비한 사건으로 미리부터 미워하던 판인데 금번에 불러다가 말하던 중에 내가 좀 때려준 것이며 더구나 사실이 없다고 하면 신문사의 사장으로서 서약서는 무슨 이유로 만들어 놓았겠소.
송진우 담: 만약 언론계를 미워하거든 직접 취소를 시켜도 될 일인데 무슨 이유로 간접의 정책을 쓰고 있느냐 하였으며 또 고소 않느냐고 하기에 고소는 아니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적어도 우리 언론계에 대하여 이러한 폭행을 하여 위협을 함은 참으로 적지 않은 문제외다.(중략)서약서는 질문대로 없습니다. 내가 죽기는 할지언정 서약서를 할 리야 있겠습니까.

박춘금 사건으로 동아일보의 성가는 크게 떨어지고, 사내에서도 젊은 기자들이 테러 사건에 대해 고소를 하지 않은 사주와 사장을 비판하는 소리가 높아졌다. 기자들은 편집국장 이상협을 통해 경영진에게 진상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동아일보 기자들의 개혁운동은 사주 김성수의 술수 때문에 좌절로 끝나고 말았지만, 언론계에서는 언론과 집회의 자유를 탄압하는 일제에 맞서 민중대회를 계획하는 등 활발한 운동이 일어났다.

조회수 17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