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유학생 간첩단 사건과 함께 국내의 용공단체로 조작된 것이 서울대 ‘민주화추진위원회(민추위)’사건이었다. 1985년 10월 29일 서울지검 공안부는 민추위 위원장 문용식(26·서울대 국사학과 3년·휴학), 배후 조종자로 김근태(38·전 민주화운동청년연합 의장) 등 관련자 26명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고 17명을 수배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일보는 10면 30일자 1면 머리에 발표 내용을 그대로 보도하고, 민추위가 서울 미문화원 점거농성 사건과 대우어패럴 근로자 동조시위 사건 등 학원 및 노조의 각종 폭력시위를 배후조종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그 사건 역시 검찰이 발표한 내용을 그대로 전하며 사설을 통해 검찰의 주장을 옹호했다.

그것이 북괴와 직접 닿아 있건, 순 자생적이건,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젊은 학생들의 국가관·사회관이다. 그들은 현 한국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을 ‘미·일 제국주의’세력에 예속된 ‘군부독재정권과 매판독점재벌’이 민중과 대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폭력적으로 ‘현 정권을 타도한 뒤 민중정권을 수립함으로써’ 그 구조적 모순을 해결한다는 목적을 내세우고 있다고 한다.
조선일보는 그 사건을 학내외 시위와 노사 분규를 배후조종한 ‘자생적 사회주의 집단’의 문제하고 규정하고 사건의 배후로 발표된 김근태에 관한 상자기사를 통해 그의 사생활까지 파헤쳤다. 10월 30일자 10면에는 <민추위사건 검찰 수사 발표>의 요지를 대형 상자기사로 도표와 함께 보도하고 검찰 공안부장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노동자·농민 학생의 연대투쟁을 혁명의 유일한 방법으로 삼았다고 주장했다. 김근태에 관한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 중 주요 부분은 다음과 같다.

당국은 김 씨가 의장으로 있던 지난 2월 ‘민추위’위원장 문용식 시와 처음으로 접촉한 뒤 9월 7일 구속될 때까지 좌경운동권 학생의 폭력혁명 방법론 등에 관해 유인물 배포나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광범위한 좌경의식화 학습을 시키며 구체적인 행동지침 등을 고무·선동해왔다고 말했다.
‘구미 유학생 간첩단 사건’과 마찬가지로 이 사건도 고문에 의한 조작이었다. 전두환 정권 하에서 벌어진 대부분의 시국사건이 그렇듯 이 사건 역시 5공 정권의 야만성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