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10월 4일자 2면에 ‘대구사건’에 관한 미군정청의 발표를 그대로 옮겼다.

공전의 불상사인 대구사건에 대하여 조병옥 경무부장은 그후 경과를 4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현재가지 들어온 보고에 의하면 경찰 측 피해자는 사망자 53명이 판명되었고 행방불명된 자와 중경상을 당한 경관은 다수로 아직 통계를 알 수 없다.
민군정청 경무부장 조병옥의 이 발표 역시 경찰관의 피해를 강조하면서 노동자, 농민, 학생을 포함한 시민이 몇 명이나 죽음 당했는지는 밝히지 않고 검거된 사람의 수가 2백명이라고만 전하고 있다. 그리고 결론 부분에서는 ‘경관의 살해와 시설 파괴’를 막고 경관의 생활대책을 마련하는 일을 급선무로 보고 있다.
조선일보는 10월 8일자에 <대구사건의 중대성>이라는 제목으로 사설을 실으면서 ‘폭거’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썼다.

대구사건은 그 전모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폭거의 대상이 인민의 보호지도를 목적으로 하는 경찰 또는 기타 행정청에 행하였었다는 점으로나 예상되는 전 동원 민중 수로나 또 그 범위가 대구를 중심으로 실로 8개군에 미쳤으며 행동이 또한 마소 과격하였던 점으로 보아 이것은 건국 도정에 있어서 실로 심상치 않은 일대 불상사요 역사상으로도 민족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사건이라 할 것이다.
조선일보의 사설은 폭거 그 자체는 결코 찬양할 수 없지만 폭동에까지 이르게 한 사회적·정치적 사정을 신중하고도 엄격하게 생각하자고 주장한다. 조선일보사가 대구에 기자를 보내서 취재를 시켰다면 군중이 경찰에 폭력으로 맞서게 된 원인을 쉽사리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다. 10월 1일 저녁 대구시청 앞에서 “식량을 달라”“콜레라 대책을 세우라”고 당국에 요구하던 시민들에게 먼저 총을 쏜 쪽은 경찰이었다. 황말용, 김종태 두 노동자가 총탄에 맞아 숨지자 군중은 무력으로 대항하는 수단에 기대게 된 것이었다. 10월 2일 아침, 경찰의 발포로 민간인 2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노동자들이 시내로 모여들기 시작했고, 식량 부족 때문에 굶주리던 시민과 학생들도 시위에 합세했다.